티스토리 뷰


 

컴퓨터의 바탕화면은 사용자에게 있어 별 의미없는 작업화면이기도 하지만 어떤이에게는 작업의 효율은 높이고 스트레스를 줄여주는 효과좋은 화면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효과 좋은 화면을 위해서는 윈도우에서 기본 제공하는 것이 아닌 자신이 선택한 멋있고, 화려하고, 아름다운 것으로 꾸며야 겠죠. 이를 더욱 효과 있게 꾸밀 수 있는 것이 바로 레인미터 스킨인데요. 스킨 적용 후 약간의 위젯 설정으로 보다 화려고 멋있는 바탕화면으로 탈바꿈 시킬 수가 있습니다. 이와 함께 레인미터 스킨 사이트 소개와 다운방법에 대해서 간략하게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가장 먼저 레인미터를 설치해야 겠죠.

 

설치를 위해서는 이곳에서 먼저 파일을 다운받으세요.

 

https://www.rainmeter.net/

 

사이트에 방문해서 아래의 그림처럼 둘 중에 어떤 것을 받아도 상관지만 베타 버전이라도 최신것으로 받길 저는 희망합니다. ㅎㅎ

 

1) 설치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일반 프로그램 설치과정이 같아요. 다행히 한국어도 지원하고 있네요.

 

 

 

2) 설치 형태 선택에서는 일반 설치 부분으로 진행하세요.

 

 

 

3) 추가 옵션에서는 특별히 선택해야 할 부분은 없군요. 그대로 [설치]를 진행합니다.

덧붙이면 64비트 컴퓨터를 사용하는 분은 체크 항목에서 표시될 겁니다.

 

4) 설치를 완료 하였습니다.

 

 

5) 자, 그러면 다음의 화면과 같은 위젯이 바탕화면에 나타나는데요 우리가 예상했던 위젯과는 많이 아쉬운 디자인이죠?

 

 

6) 때문에 필요없음 느끼고 위젯을 우클릭해서 [스킨닫기]를 합니다

 

 

 

7) 그전에 바탕화면의 작업 표시줄을 없애는 방법을 알려드릴께요. 이것을 적용 시키면 마우스 커서를 옮기지 않는한 깔끔한 화면을 유지할 수 있어 한결 보기가 좋습니다. 작업표시줄을 우클릭 해서 [속성]으로 들어가세요.

 

 

8) 그리고 [작업 표시줄 자동 숨기기]를 하면 됩니다.

 

 

9) 오올~ 작업표시줄을 없애니 좀 더 멋있어 보이네요.

 

 

 

 

이번에는 우리가 원하는 좀 더 화려하고 멋있는 스킨을 찾기 위해 레인미터 스킨 사이트로 가보겠습니다.

스킨은 네이버, 구글 등에서 검색을 하면 쉽게 찾을 수가 있지만 보다 잘 정돈된 사이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 http://rainmeter.deviantart.com/

 

▶ http://customize.org/rainmeter

 

예를 들기 위해 첫 번째에 알려드린 디비안아트에 들어가서 스킨을 다운 받아보겠습니다.

 

1) 해당 사이트는 둘러보시면 알겠지만 다양한 예술 작품도 감상할 수가 있어 매우 유익한 사이트에요.

사이트에 방문하시면 아래의 그림처럼 [skins]를 선택해서 다음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2) 스킨 화면으로 이동하면 첫 화면에서도 다양한 스킨을 감상할 수가 있지만 좌측의 메뉴에서도 여러가지를 골라볼 수가 있습니다.

이중에서 제 맘에 드는 것으로 골라 적용시켜보겠습니다.

 

 

 

 

3) 아주 화려하고 멋있어 보이는 레인미터 스킨을 찾았습니다. 이것을 다운 받아보겠습니다. (우측에 Download 선택)

다운 받기 전에 만든이에게 감사의 멘트 남겨주는 센스는 필요해요~

 

 

 

 

4) 파일을 다운받으면 다음과 같이 물방울 아이콘 파일을 볼 수가 있습니다. 해당 파일은 레인스킨 확장자 파일이 이기 때문에 적용방법이 매우 간단합니다. 더블 클릭을 해서 [install]만 해주면 되거든요.

 

 

 

5)그러면 다음과 같은 스킨이 바탕화면에 적용이 됩니다. 여기서 필요한 위젯만 남기고 [닫기]를 하면 됩니다.

 

 

6) 여기서 부터가 중요합니다. 폴더로 구성된 레인스킨은 [라이브러리]-[문서]-[rainmeter]- [skins] 폴더를 열어 다음의 그림과 같이 다운받은 레인스킨 폴더를 복사 붙여넣기를 합니다.

 

7) 폴더에서 폴더로 이동하는 화면입니다.

 

 

 

 

 

 

8) 그리고 레인미터를 실행하고 [전체 새로 고침]을 선택하면 다운받은 스킨이 적용이 됩니다.

 

9) 마지막으로 적용된 파일을 선택해서 스킨 항목으로 들어간 다음 폴더명과 같은 [ini] 파일을 더블클릭하면 스킨 적용이 완료됩니다.

 

 

제가 말씀드린 설명이 약간 어려워 보일 수 있으나 실제로 해보면 별로 어렵지 않음을 알 수 있습니다. 한 번 차근차근 따라해 보시길 바랍니다.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