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근로기준법 근무시간 알아보기
▼ 소정근로시간 계산하기
1일 8시간, 주 5일 근로하고 토요일을 무급휴무일로 정한 회사는 1주 주휴8시간을 포함해 월 평균 209시간의 소정근로시간이 됩니다.
174시간 (8시간 X 주 5일 X 4.34주(1달 평균 주수)) + 35시간 (1주 주휴8시간 X 4.34주) = 209시간
소정근로시간이 주 40시간이므로 한달 평균 4.34주로 보고 월 최대 소정근로시간은 174시간이 됩니다.
한달에 22일 근로하였다면 1일 8시간이면 월 176시간동안 근로하였다고 봅니다. 초과된 2시간은 연장근로나 휴일근로가 되므로 2시간에 대해서는 통상임금의 1.5배를 가산하여 초과근로수당을 지급해야 합니다.
<근로기준법>
제50조(근로시간) ① 1주 간의 근로시간은 휴게시간을 제외하고 40시간을 초과할 수 없다.
② 1일의 근로시간은 휴게시간을 제외하고 8시간을 초과할 수 없다.
③ 제1항 및 제2항에 따른 근로시간을 산정함에 있어 작업을 위하여 근로자가 사용자의 지휘·감독 아래에 있는 대기시간 등은 근로시간으로 본다. <신설 2012.2.1.>
제53조(연장 근로의 제한) ① 당사자 간에 합의하면 1주 간에 12시간을 한도로 제50조의 근로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② 당사자 간에 합의하면 1주 간에 12시간을 한도로 제51조의 근로시간을 연장할 수 있고, 제52조제2호의 정산기간을 평균하여 1주 간에 12시간을 초과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제52조의 근로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③ 상시 30명 미만의 근로자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다음 각 호에 대하여 근로자대표와 서면으로 합의한 경우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라 연장된 근로시간에 더하여 1주 간에 8시간을 초과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근로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신설 2018.3.20.>
1.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라 연장된 근로시간을 초과할 필요가 있는 사유 및 그 기간
2. 대상 근로자의 범위
④ 사용자는 특별한 사정이 있으면 고용노동부장관의 인가와 근로자의 동의를 받아 제1항과 제2항의 근로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다만, 사태가 급박하여 고용노동부장관의 인가를 받을 시간이 없는 경우에는 사후에 지체 없이 승인을 받아야 한다. <개정 2010.6.4., 2018.3.20.>
⑤ 고용노동부장관은 제4항에 따른 근로시간의 연장이 부적당하다고 인정하면 그 후 연장시간에 상당하는 휴게시간이나 휴일을 줄 것을 명할 수 있다. <개정 2010.6.4., 2018.3.20.>
⑥ 제3항은 15세 이상 18세 미만의 근로자에 대하여는 적용하지 아니한다. <신설 2018.3.20.>
[법률 제15513호(2018.3.20.) 부칙 제2조의 규정에 의하여 이 조 제3항 및 제6항은 2022년 12월 31일까지 유효함.]
[시행일 : 2021.7.1.] 제53조제3항, 제53조제6항
[시행일 : 2018.7.1.] 제53조
제56조(연장·야간 및 휴일 근로) ① 사용자는 연장근로(제53조·제59조 및 제69조 단서에 따라 연장된 시간의 근로를 말한다)에 대하여는 통상임금의 100분의 50 이상을 가산하여 근로자에게 지급하여야 한다. <개정 2018.3.20.>
② 제1항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는 휴일근로에 대하여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따른 금액 이상을 가산하여 근로자에게 지급하여야 한다. <신설 2018.3.20.>
1. 8시간 이내의 휴일근로: 통상임금의 100분의 50
2. 8시간을 초과한 휴일근로: 통상임금의 100분의 100
③ 사용자는 야간근로(오후 10시부터 다음 날 오전 6시 사이의 근로를 말한다)에 대하여는 통상임금의 100분의 50 이상을 가산하여 근로자에게 지급하여야 한다. <신설 2018.3.20.>
▼ 근로기준법 근무시간 초과
근로기준법상 1일 8시간, 한 주에 40시간을 초과할 경우는 연장근로에 해당되며 연장근로는 주 12시간을 초과할 수 없습니다. (최대 주 52시간) 합의가 있다 하더라도 지시할 수 없습니다.
다만, 5인 미만 사업장에 근무하는 경우와 아래 근로기준법 59조와 63조에 해당하는 업무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12시간을 초과하여 연장근로가 가능합니다.
<근로기준법>
제59조(근로시간 및 휴게시간의 특례) ① 「통계법」 제22조제1항에 따라 통계청장이 고시하는 산업에 관한 표준의 중분류 또는 소분류 중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업에 대하여 사용자가 근로자대표와 서면으로 합의한 경우에는 제53조제1항에 따른 주(週) 12시간을 초과하여 연장근로를 하게 하거나 제54조에 따른 휴게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1. 육상운송 및 파이프라인 운송업. 다만,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제3조제1항제1호에 따른 노선(路線) 여객자동차운송사업은 제외한다.
2. 수상운송업
3. 항공운송업
4. 기타 운송관련 서비스업
5. 보건업
② 제1항의 경우 사용자는 근로일 종료 후 다음 근로일 개시 전까지 근로자에게 연속하여 11시간 이상의 휴식 시간을 주어야 한다.
[전문개정 2018.3.20.]
[시행일 : 2018.7.1.] 제59조
[시행일 : 2018.9.1.] 제59조제2항
[시행일 : 2018.7.1.] 제59조
제63조(적용의 제외) 이 장과 제5장에서 정한 근로시간, 휴게와 휴일에 관한 규정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근로자에 대하여는 적용하지 아니한다. <개정 2010.6.4.>
1. 토지의 경작·개간, 식물의 재식(栽植)·재배·채취 사업, 그 밖의 농림 사업
2. 동물의 사육, 수산 동식물의 채포(採捕)·양식 사업, 그 밖의 축산, 양잠, 수산 사업
3. 감시(監視) 또는 단속적(斷續的)으로 근로에 종사하는 자로서 사용자가 고용노동부장관의 승인을 받은 자
4.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업무에 종사하는 근로자
'정부정책, 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입사원 연차 2018년 개정 안내 (0) | 2018.04.24 |
---|---|
소득금액증명원 발급(개인사업자 등) (0) | 2018.04.24 |
원천징수영수증 발급 국세청홈택스에서 출력하기 (0) | 2018.04.24 |
2018년 연차개정 연차휴가 연차계산 안내 (0) | 2018.04.20 |
한국관광공사 근로자 20만원 휴가비 신청 (휴가지원사업 자격 조건) (0) | 2018.04.20 |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주택청약 가입방법 (0) | 2018.04.19 |
장기요양인정서, 장기요양인정신청서 등급판정받기 (0) | 2018.04.19 |
노인돌봄종합서비스 장기요양등급신청 어떻게? (0) | 2018.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