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세금 3.3% 계산 해보기
모든 급여는 세금을 제하고 받게 되는데 그것을 '원천징수'라고 합니다.
고용주가 급여를 받는 사람의 세금을 미리 징수하여 국가에 납부하는 제도입니다.
아르바이트를 했다면 3.3%의 세금이 차감되는데, 만약 8.344%를 차감하는 경우 이것은 4대 보험에 가입한 세금을 적용했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내가 받는 급여에서 3.3%를 제하고 받는 나머지 금액은 얼마일지 계산해봅니다.
▼ 알바몬을 검색해 접속합니다.
▼ 메인화면에서 제일 아래 오른쪽, 시급이 적힌 곳으로 갑니다.
더 아래 '자세히 보기'를 클릭합니다.
▼ '알바급여계산기'를 클릭합니다.
▼ 예시로, 시급 8,000원, 일일 근무시간 8시간, 한달 근무일수 19일로 계산해봅니다.
'세금 적용'에 체크하고 '3.3%'를 선택합니다.
'환산하기'를 클릭합니다.
월급으로 환산된 금액이 출력됩니다.
그리고 주휴수당은 별도로 계산해야 합니다.
▼ 주휴수당은 1주일 15시간 이상 개근하여 근무했다면 1일치의 급여를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위 계산대로라면 1주에 60,800원의 주휴수당이 계산됩니다.
본인의 근무일수를 잘 살펴보고 개근한 주가 있다면 1주당 주휴수당을 별도로 더 받을 수 있습니다.
결근한 날이 1주에 몰려있다면 나머지 3주의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지만, 결근한 날이 1주에 1번씩 있다면 주휴수당은 전혀 받을 수 없습니다.
만약 급여에 주휴수당이 이미 포함된 경우가 있다면 꼼꼼하게 따져보아야 할 것입니다.
'정부정책, 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DB형 퇴직연금과 DC형 퇴직연금의 비교 (0) | 2018.05.09 |
---|---|
알바 해고예고수당 신청기간 (0) | 2018.05.09 |
2018 연봉별 실수령액 월급과 세금 (0) | 2018.05.09 |
공무원 연가일수 및 공무원 연가보상비 계산법 (0) | 2018.05.09 |
국가장학금 소득인정액 얼마까지 인정? (0) | 2018.05.04 |
2018년 근로기준법 개정안 연차 5월29일부터 (0) | 2018.05.03 |
2018근로장려금 신청 금액 2018년 근로장려금 (0) | 2018.05.01 |
차상위계층 기준과 조건 혜택 정리 (0) | 2018.05.01 |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